반응형
2026년 최저시급 11,460원? 시급 인상 시 세전·세후 월급은 얼마?
매년 이맘때면 빠지지 않는 뉴스, 바로 내년도 최저임금 협상입니다.
2026년 최저시급을 둘러싸고 노동계와 경영계의 줄다리기가 계속되고 있는데요,
노동계가 제시한 11,460원 시급이 실제로 적용된다면
월급은 얼마가 될지, 세후 실수령액은 어느 정도인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 현재 2026년 최저임금 논의 상황
2025년 6월 26일, 최저임금 위원회 전원회의에서 2차 수정안까지 제시됐지만
결론 없이 종료되었습니다.
구분1차 수정안2차 수정안
노동계 | 11,500원 (+14.7%) | 11,460원 (+14.3%) |
경영계 | 10,060원 (+0.3%) | 10,070원 (+0.4%) |
📌 기준 시급: 2025년 최저임금은 10,030원
- 최저임금 결정 법정 시한: 6월 29일
- 다음 회의 일정: 7월 1일, 7월 3일 결론 가능성도 제기
🔍 왜 이렇게 팽팽한 입장 차이?
🔹 노동계 입장: “실질 임금이 줄고 있다”
- 최근 5년간 물가 상승률 약 27.6%,
최저임금 인상률은 **15.8%**에 불과 - 식대·교통비 등 수당 포함되며 체감 상승폭도 적음
📌 “실제로 받는 돈은 줄었어요…”
🔹 경영계 입장: “인건비 감당이 어렵다”
- 주휴수당 포함 시 시급 12,000원에 가까움
- 알바생 하루 고용 시 일급 11만 원 이상
- 경기 침체·폐업 증가로 인건비 감당 어려움
- 중소기업 절반 이상이 “최저임금 인상 시 고용 줄일 수밖에 없다” 응답
💰 시급 11,460원이 되면 얼마나 벌까?
▶️ 일급 계산 (주 5일 근무, 하루 8시간 기준)
- 주휴수당 미포함:
11,460원 × 8시간 = 91,680원 - 주휴수당 포함:
11,460원 × (8시간 × 6 ÷ 5) = 110,016원
✅ 하루 평균 약 11만 원 수준
▶️ 월급 계산 (209시간 기준, 주휴 포함)
- 11,460원 × 209시간 = 2,395,140원 (세전)
✅ 2025년 최저월급 2,096,270원 대비 약 30만 원 인상
▶️ 최저입금 월급 실수령액은?
- 4대 보험료, 소득세 등 공제 시
약 216만 원 내외 (단, 가족 수나 공제 항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참고 요약
항목금액 (예상)
시급 | 11,460원 |
일급 (주휴 포함) | 110,016원 |
월급 (세전) | 2,395,140원 |
월급 (세후) | 약 2,160,000원 |
📎 마무리
최저임금은 단순한 시급 문제가 아니라
국민 생계, 고용시장, 소득불균형과 직결된 사회 전체 이슈입니다.
2026년 최저임금이 어떻게 결정될지 아직 미정이지만,
7월 중 최종 확정될 예정이니
관심 있는 분들은 고용노동부 및 뉴스 발표를 꼭 챙겨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